
Optimal Design of SRC Section 대화상자
SEL : 최적설계를 수행할 단면을 선택합니다. Note Space Bar Key로 선택 및 취소할 수 있다.
Section Name : 사용자가 입력한 부재 명칭
Orgin. Section : 사용자가 입력한 부재의 치수와 강도검증 결과를 표시합니다. 본 항목은 수정할 수 없습니다. Type : 단면형상의 종류를 표시합니다. (SRC Code Check > Column Checking 참조) Hc : 철골매립형 기둥부재의 콘크리트단면 높이 Bc : 철골매립형 기둥부재의 콘크리트단면 폭 Stl Size : 사용된 철골단면의 치수. 용접형강(Built-up Section)일 경우 부재형상기호 앞에 B자가 추가됨 Astl : 부재의 단면적 COM : 강도검증 결과의 조합응력비 Note 최적설계 결과에서 응력비가 '999.0'으로 출력되는 것은 허용세장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Design Criteria : 최적설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을 입력합니다. Allow : 부재선정시 목표로 하는 허용 조합응력비를 입력합니다. 부재 자동 선정시 여기에서 제한한 값 이내에서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재를 선정하게 됩니다. 이 때 해석의 반복횟수, 또는 응력비의 수렴율에 따라서 계산된 조합응력비가 설정된 허용 조합응력비를 초과할 수도 있습니다. SectDB : 선정할 부재의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합니다.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각 기준별 데이터베이스는 총 13개이며, 이밖에 사용자 지정 데이터베이스와 용접형강 데이터베이스의 사용도 가능합니다.
D1 ~ D6 : 부재선정시 사용할 부재치수의 범위를 입력합니다. 가 압연형강(KS,JIS,AISC)일 경우는 입력된 치수의 ± 5% 이내에 속하는 단면에 대하여 강도검증을 수행하며, 용접형강(USER,BUILT)일 경우는 입력된 치수와 일치하는 단면에 대하여 강도검증을 수행합니다. "0"이 입력된 항목은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치수에 대하여 검색을 실시합니다. 따라서 항목전체를 "0"으로 설정할 경우 검토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 적절하게 범위를 설정하여 효율적인 검토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각 항목별 입력데이타는 아래와 같습니다.

SecDB 가 BUILT인 부재의 치수 입력값이 "0"이면 아래 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면을 탐색하며, 두께는 에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합니다.

Note 단면높이데이터 : 사용단위가 "mm", "cm", "m" 인 경우 [단위 : mm], 단면높이데이터 : 사용단위가 "in", "ft", 인 경우 [단위 : in]를 사용.
: 강도검증 및 재해석 횟수를 지정합니다. (아래 기능 해설 참조)
: 단면 데이터베이스가 BUILT인 경우에 사용할 판의 두께를 지정합니다. (아래 기능 해설 참조)
: 기둥부재의 최적설계 수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아래 기능 해설 참조)
: 단면 데이터베이스가 USER인 경우에 사용할 부재의 치수를 지정합니다. (아래 기능 해설 참조)
: 응력비 검증 및 재해석을 수행합니다. 에서 지정된 횟수만큼 단면을 탐색하여 재해석을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원래의 부재로 환원하여 다시 해석을 수행합니다.
Analysis Option
최적설계 수행시 부재의 변경 및 재해석할 횟수를 지정합니다.
[입력]
Plate Thickness Data
최적설계 수행시 사용하고자 하는 부재(플랜지, 웨브)의 두께를 입력합니다.
[입력]
Column Design
기둥부재의 최적설계 수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입력합니다.
[입력]
User-Defined Section
최적설계 수행시 사용자가 미리 정하여 놓은 단면으로 부재설계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며, 사용하고자 하는 완성된 단면데이터를 입력하여 단면 데이터베이스를 만듭니다.
[입력]
Optimal Design Results
최적설계의 수행결과를 표시해주고 그 결과를 다양한 형태의 보고서로 출력해주며 , 수행결과 변경된 부재를 모델에 반영합니다.
[사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