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 
  | 
				 Load Case Name 
				  지진하중을 
				 적용할 Load Case를 선택합니다. 
				  Load 
				 Case를 새로 입력하거나 수정하려면 우측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Seismic Load Code 
				  지진하중의 
				 계산에 적용할 기준을 선택합니다. 
				  [자세히 보기] 
				                
				 
				
				  Seismic 
				 Load Parameters   
				 
				 각국 
				 기준별 지진하중의 자동연산에 적용할 변수를 입력합니다. 
				  
				 <KDS(41-17-00:2019)> 
				 Design 
				 Spectral Response Acceleration : 단주기 및 1초 주기펙트럼 
				 가속도 산정을 위한 변수들을 입력합니다. 
				 Seismic 
				 Zone : 지진구역 
				 Zone 
				 Factor (S) : 입력된 지진구역에 해당하는 지진구역계수가 자동으로 선택됩니다. 
				 국가지진위험지도(KDS(41-17-00:2019) 그림 3.2-1)를 이용하여 S값을 직접 결정한 
				 경우, S는 지진구역계수(KDS(17-10-00:2019) 표 4.2-1, 4.2-2)에 표 4.2-3에 
				 제시된 2400년 재현주기에 해당하는 위험도계수(I) 2.0을 곱해서 결정한 S값의 80%보다 작아서는 
				 안됩니다. 
				  
				
					
					
					
					
					
						지진구역  | 
						행정구역  | 
						지진구역계수(Z)  | 
					 
					
						Ⅰ  | 
						시  | 
						서울, 인천, 대전, 부산, 
						 대구, 울산, 광주, 세종 | 
						0.11  | 
					 
					
						도  |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강원, 남부* | 
						
					 
					
						Ⅱ  | 
						도  | 
						강원북부**, 제주 | 
						0.07  | 
					 
				 
				* 강원남부 : 영월, 정선, 삼척, 강릉, 동해, 원주, 
				 태백 
				** 강원북부 : 홍천, 철원, 화천, 횡성, 평창, 양구, 
				 인제, 고성, 양양, 춘천, 속초 
				  
				 Site 
				 Class : 지반의 종류 
				 Period 
				 Coef. (Cu) : 
				 주기 상한계수, Sd1의 값에 따라 다음 표를 이용하여 직선보간하여 자동으로 산정된다. 
				  
				   
				  
				Note 
				1. 지반증폭계수 계산 : 
				 KDS(41-17-00:2019) <표 4.2-1>과 <표 4.2-2>에 의해 
				 단주기 지반증폭계수(Fa) 및 1초주기 지반증폭계수(Fv) 값이 자동계산됩니다. 
				  
				2. KDS(41-17-00:2019) 
				 4.2.2(2)에서 규정된 Fv의 80%를 적용하도록한 것과 4.2.2(3)에서 규정된 Fa, Fv의 
				 110%를 적용하도록 한 것은, 
				엔지니어가 적용 조건을 판단하여 
				 자동계산된 Fa, Fv 값을 참고로 80%, 110% 에 해당하는 값을 Fa, Fv 값으로 직접 
				 입력하면 적용됩니다. 
				  
				 Fa 
				 : 단주기 지반증폭계수(Acceleration-based site coefficient). 상세지진지역계수와 
				 지반종류로부터 아래 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산정된다. S는 지역계수(유효지반가속도)이다. 
				 S의 중간값에 대해서는 직선보간한다. 
				  
				
					
					
					
					
					
						지반종류  | 
						지진지역  | 
						
					 
					
						S 
						 ≤  0.1  | 
						S =  0.2  | 
						S =  0.3  | 
					 
					
						S1  | 
						1.12  | 
						1.12  | 
						1.12  | 
					 
					
						S2  | 
						1.4  | 
						1.4  | 
						1.3  | 
					 
					
						S3  | 
						1.7  | 
						1.5  | 
						1.3  | 
					 
					
						S4  | 
						1.6  | 
						1.4  | 
						1.2  | 
					 
					
						S5  | 
						1.8  | 
						1.3  | 
						1.3  | 
					 
				 
				  
				 Fv 
				 : 주기 1초의 지반증폭계수 (Velocity-based site coefficient). 지역계수와 
				 지반종류로부터 아래 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산정된다.  S는 지역계수(유효지반가속도)이다. 
				 S의 중간값에 대해서는 직선보간한다. 
				  
				
					
					
					
					
					
						지반종류  | 
						지진지역  | 
						
					 
					
						S 
						 ≤  0.1  | 
						S =  0.2  | 
						S =  0.3  | 
					 
					
						S1  | 
						0.84  | 
						0.84  | 
						0.84  | 
					 
					
						S2  | 
						1.5  | 
						1.4  | 
						1.3  | 
					 
					
						S3  | 
						1.7  | 
						1.6  | 
						1.5  | 
					 
					
						S4  | 
						2.2  | 
						2.0  | 
						1.8  | 
					 
					
						S5  | 
						3.0  | 
						2.7  | 
						2.4  | 
					 
				 
				  
				 Sds 
				 : 단주기 설계스펙트럼 가속도 (design spectral response acceleration 
				 at short periods).  
				지역계수와 지반증폭계수로부터 
				 자동으로 산정된다. 
				SDS 
				 = (2/3)*S*2.5*Fa 
				  
				 Sd1 
				 : 주기 1초의 설계스펙트럼 가속도 (design spectral response acceleration 
				 at 1-sec period). 지역계수와 지반증폭계수로부터 
				 자동으로 산정된다.         
				SD1 = (2/3)*S*Fv 
				  
				 Seis. 
				 Use Group : 내진등급 
				 Importance 
				 Factor : 중요도 계수. 선택된 내진등급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된다. 
				
					
					
					
					
						건축물의 
						 중요도  | 
						내진등급  | 
						중요도계수(Ig)  | 
					 
					
						중요도(특)  | 
						특  | 
						1.5  | 
					 
					
						중요도(1)  | 
						Ⅰ  | 
						1.2  | 
					 
					
						중요도(2), 
						 (3)  | 
						Ⅱ  | 
						1.0  | 
					 
				 
				  
				 Seis. Design Category 
				 :  내진설계범주. 
				 단주기 
				 설계 스펙트럼 가속도(Sds), 주기 1초 설계스펙트럼 가속도(Sd1), 내진등급에 따라 단주기 
				 및 주기1초에서의 내진설계범주가 
				 각각 자동으로 산정된다. 최종적인 내진설계범주는 단주기 및 주기 1초에서의 설계스펙트럼에 따른 내진설계범주 
				 중 불리한 값을 취한다. 
				  
				 - 
				 단주기 설계스펙트럼가속도(Sds)에 따른 내진설계범주 
				  
				   
				  
				 - 
				 주기 1초에서 설계스펙트럼가속도(Sd1)에 따른 내진설계범주 
				  
				   
				  
				 [그 외 기준별 입력변수 자세히 보기] 
				     
				
				  
				
  Structural Parameters 
				  구조물의 
				 특성을 정의하는 변수를 입력합니다. 
				주기는 약산식에 
				 의해 산정하거나, 해석적인 방법으로 구하여 직접 지정할 수 있다. 다만, 해석적인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약산식에 의한 기본진동주기에 주기 상한계수를 곱한 값을 초과할 수 없다. 
				 Analytical Period 
				 : 고유치해석에 의한 구조물의 고유주기 
				 Approximate Period : 
				 규준의 약산 주기산정식에 의한 구조물의 고유주기 
				 Fundamental Period : 
				 지진하중 계산에 적용될 건축물 기본주기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R) : 반응수정계수 
				  
				 [그 외 기준별 입력변수 자세히 보기] 
				            
				 
				
				  Seismic 
				 Load Direction Factor   
				 
				 지진하중을 
				 적용할 방향과 크기를 입력합니다.     
				 
				  Scale 
				 Factor in Global X : 
				 전체좌표계 X방향으로 적용할 증감계수     
				 
				  Scale 
				 Factor in Global Y : 
				 전체좌표계 Y방향으로 적용할 증감계수    
				   
				
  Accidential Eccentricity  구조물에 
				 우발편심을 고려할 방향을 지정합니다.   
				   
				
  Torsional Amplification 
				  Accidential 
				 Eccentricity : 
				 우발편심에 의한 비틀림 모멘트의 증폭계수 적용여부를 체크합니다. 
				  Inherent 
				 Eccentricity : 
				  건축물의 질량중심과 강성중심 간의 편심에 의한 비틀림모멘트에 증폭계수 적용여부를 체크합니다. 
				 
				   
				  Note 
				 KBC2009 
				 : 
				  KBC 2009 - 0306.5.6.3절, 0306.5.6.4절 참조 
				   
				
  Additional Seismic Loads 
				  자동연산에서 
				 고려하지 못한 지진하중을 추가로 입력합니다. 
				      
				 : 지진하중을 추가로 적용할 층과 각 방향별 하중값을 입력합니다. 
				      
				 : 자동연산된 
				 등가정적지진하중을 작용방향과 성분에 따라 
				    SpreadSheet 
				 형태의 Table과 Graph로 화면에 출력합니다. 
				       Component 
				 : 그래프로 
				 표현할 지진하중의 작용방향 지정 
				       Select 
				 Profile : 
				 그래프로 표현할 항목 선택 
				          Story 
				 Force : 
				 층 지진하중 
				          Story 
				 Shear : 
				 층 전단력 
				          Overturning 
				 Moment : 
				 전도모멘트 
				      
				 : Sheet 형태의 Text Output이 File로 출력되며,    
				 
				    Text 
				 Editor가 자동 실행됩니다. 
				      
				 : 자동연산된 등가정적지진하중을 모델에 적용합니다. 
				 
				   
				    Note 
				   등가정적지진하중의 
				 산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해당 기준을 참조 
				   
				    Note 
				   추가하중 
				 입력창을 편집 가능하도록 개선(엑셀과 호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