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 Calculation Parameters

 

기능

예비평가를 위해 필요한 지진하중 및 재료강도 정보를 설정합니다.

RC구조만 지원됩니다.

 

호출

[Seismic Evaluation] 탭 > [KISTEC2013][KISTEC2019] > [Evaluation Type] 그룹 > [Pre.Eval.] > [Calculation Parameters]그룹 > [Set Calc. Parameters]

 

입력

다음과 같은 대화상자를 통하여 입력합니다.

 

Set Calculation Parameters 대화상자

 

Method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할 코드 또는 매뉴얼명이 출력됩니다.  를 통해 Evaluation Method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Demand Calculation

Seismic Load Parameters

Seismic Zone : 지진구역

Zone Factor (S) : 지역계수.

입력된 지진구역에 해당하는 지역계수가 자동으로 선택됩니다. 상세지진재해도(KBC2009 그림 0306.3.1)를 이용하여 S값을 직접 결정한 경우, S는 지역계수(KBC2009 표 0306.3.1)를 이용하여 결정한 S값의 80%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Note. [KBC2009 관련조항 보기]

Site Class : 지반의 종류

Note. [KBC2009 관련조항 보기]

Fa : 단주기 지반증폭계수(Acceleration-based site coefficient). 상세지진지역계수와 지반종류로부터 아래 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산정된다. Ss 는 지역계수(유효지반가속도)를 2.5배 한 값이다. Ss = 2.5S, Ss의 중간값에 대해서는 직선보간한다.

 Fv : 주기 1초의 지반증폭계수 (Velocity-based site coefficient). 지역계수와 지반종류로부터 아래 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산정된다.  S는 지역계수(유효지반가속도)이다. S의 중간값에 대해서는 직선보간한다.

Sds : 단주기 설계스펙트럼 가속도 (design spectral response acceleration at short periods). 지역계수와 지반증폭계수로부터 자동으로 산정된다. Sds = (2/3)*S*2.5*Fa

Effective Weight : 각층별 유효중량

Auto :  Query>Story Mass테이블의 각 층별 Sum값에 중력가속도 g를 곱하여 자동계산

User : 을 통해 입력된 값을 이용하여 계산

w : 단위면적당 유효중량(kN/m2)

Floor Area : 층 바닥면적

(각 층의 X방향 최대 폭 * Y방향 최대 폭) 결과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직접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Capacity Calculation

: Concrete Material 대화상자 호출

: 휨지배형 부재의 연성능력

λs : KISTEC2019 식(3.3.4)에 따른 비정형계수

     Note.
    
[KISTEC 2019(한국시설안전공단 2019) 관련조항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