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ory Performance
Table(예비평가)
Story : Story
Data대화창에 설정된 층 이름
Elev. : Story Level
- (GL Level) = Elevation
Sds : KBC2009 단주기 설계
스펙트럼 가속도
Set
Calculation Parameters 대화상자에 입력된 Sds 값
Effective Weight : 층
유효중량
1)
Set Calculation Parameters 의 Effective Weight 설정이 Auto인
경우 :
Story
Mass Table에서 각 층의 (Translational Mass + Additional Mass)
* g
2)
Set Calculation Parameters 의 Effective Weight 설정이 User인
경우 :
각
층 (w x Floor Area)
γ : 층 전단력 분포계수

예:
2층 전단력 분포계수
=
{(3층 w)x(3층 Story elev.) + (Roof 층 w)x(ROOF층 Story elev)}
/ {(1층 w)x(1층 Story elev) + (2층 w)x(2층 Story elev) + (3층
w)x(3층 Story elev) + (ROOF층 w)x(ROOF층 Story elev)}
Note
GL이
존재하는 경우, GL을 포함한 하부층은 유효중량에 산정 안함
층 전단력
분포계수는 Roof층은 0, 가장 하부층인 G.L은 1.0
Demand
: 해당층의 요구량(평가기준 지진하중에 의한 층 전단력) = Sds x W x γi
Dμ :
휨지배형 부재의 연성능력
Set Calculation Parameters 에
입력된 값
λs : KISTEC2019
식(3.3.4)에 따른 비정형계수
Note.
[KISTEC
2019(한국시설안전공단 2019) 관련조항 보기]
Cf : 휨지배부재의 저항능력의 합
Note
Concrete
Materials 대화상자에서 모델에 적용된 재료강도가 복수개 있고,
1) 계산대상 부재의 재료강도가 Default로 설정된 경우 : RC Column Capacity(S)
Table의 Cf값의 합
2) 계산대상 부재의 재료강도가 Document 또는 Testing으로 설정된 경우 : RC Column
Capacity (G) Table의 Cf 값의 합
Cs : 전단지배부재의 저항능력의 합
Note
Concrete
Materials 대화상자에서 모델에 적용된 재료강도가 복수개 있고,
1) 계산대상
부재의 재료강도가 Default로 설정된 경우 : RC Column Capacity (Simple)
Table의 Cs 값과 RC Wall Capacity (Simple) Table의 Cs 값의 합
2)
계산대상 부재의 재료강도가 Document 또는 Testing으로 설정된 경우 : RC Column
Capacity (General) Table의 Cs 값과 RC Wall Capacity (General)
Table의 Cs 값의 합
Capacity : 해당 층의 저항능력(연직부재의 전단저항능력의 합) =
max [ Cs+0.7Cf , Dμ x Cf ]
DCR
: 성능수준 판정을 위한 해당층의 요구량과 저항능력의 비 = Demand / Capacity
Performance
: DCR값에 의해 판단된 해당 층의 성능수준
DCR ≤ 0.5 : IO
0.5
< DCR ≤
0.75 :
LS
0.75
< DCR ≤
1.0 :
CP
1.0 < DCR :
Collapse
Note.
[KISTEC 2013(한국시설안전공단
2013) 관련조항 보기]
Note.
일부층의 Performance에
'Invalid'로 출력되는 경우
예비평가는
RC부재에
대해서만 지원됩니다. 평가 대상부재에 Steel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층 Performance에
Invalid로 출력됩니다.
Structure
Performance : 전체 구조물 성능수준 평가
층별 Performance 중 가장 불리한 성능수준으로 평가
Note. 최종 Performance에
'Invalid'로 출력되는 경우
예비평가는 RC부재에 대해서만 지원됩니다.
평가 대상부재에 Steel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층 Performance에 Invalid로 출력되고,
최종 Performance에도 Invalid로 출력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