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ffic Surface Lanes

 

기능

이동하중해석에 사용되는 차선면을 입력합니다.

 

호출

[Load] 탭 > [Moving Load] > [Traffic Surface Lanes]

 

입력

Traffic Surface Lanes 대화상자

 

: 차선면을 처음 입력하거나 추가

 

: 이미 입력된 차선면을 수정

 

: 입력된 차선면 삭제

 

: 차선면 복제

 

 

Define Design Traffic
Surface Lane 대화상자

 

 

Lane Name

정의하려는 차선면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Traffic Lane Properties

   Lane Width : 차선면의 폭을 입력합니다.

   Wheel Spacing : 차륜간격을 입력합니다. 영향선 해석시 각 바퀴위치에 0.5P의 하중을 각각   

   재하 합니다.

 

                           DB 하중                                                     DL 하중

 

  DL하중의 분포하중은 영향선 해석의 경우, 단위 길이당 하중을 2로 나누어 선분포하중의 형태로   

  차륜위치에 재하하며, 영향면 해석의 경우에는 차선면 영역에 면분포하중 형태로 재하됩니다.

 

  DL하중에 포함된 집중하중(Pm 및 Ps)은 하중 크기를 2로 나누어 차륜 위치에 재하합니다. Pm 및

  Ps하중은 원칙적으로 차선에 직각인 방향으로 분포하는 선하중 형태로 재하 되어야 하지만,   

  보요소를 이용한 영향선 해석에서는 그 특성상 영향선 직각방향의 분포하중은 고려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판요소를 이용한 영향면 해석에서는, 현재 버전에서는 Pm 및 Ps 하중을 2로 나누어 차륜

  위치에 재하하며, 이 하중의 선분포하중 재하 기능은 추후 업그레이드 예정입니다.

 

  Offset Distance to lane center : 차선면을 입력하기 위해 입력되는 차선절점열에서 차선면  

  중심까지의 거리를 입력합니다. 차선면의 진행방향에서 볼 때, 차선면의 중심이 차선절점열의  

  오른쪽에 있을 경우는 양(+)의 편심거리를 입력하고 차선면의 중심이 차선절점열의 왼쪽에 있을  

  경우에는 음(-)의 편심거리를 입력합니다.

 

  Impact Factor : 입력되는 차선면에 대한 충격계수를 입력합니다.

 

  Skew : 사교인 경우 안내그림을 참조하여 시점과 종점의 경사도(Skew Angle)를 입력합니다.

 
Moving Direction
차량하중의 고려방향을 지정합니다.
   Forward : 시점에서 종점측으로의 이동만을 고려
  
Backward : 종점에서 시점측으로의 이동만을 고려
  
Both : 양방향 이동을 모두 고려
 
Selected by
차선절점열을 사용한 차선면의 정의방법을 지정합니다.
   2 points : 2개의 점좌표를 사용하여 차선절점열을 입력합니다. 두 점을 연결하는 모든 절점들이   
   차선절점열로 정의됩니다.
   Picking / Number : 차선절점열에 해당하는 절점들을 선택하여 입력합니다. 마우스를 사용하여   
   입력하거나 절점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차선절점열을 정의합니다.
 
   Note
   
차선면은 차선절점열과 편심거리 그리고 차선폭으로 결정된다.
즉, 차선절점열에서 편심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 차선중심을 정하고 차선중심에서 진행방향의 좌우로 차선폭의 1/2 만큼의 영역을   
   차선면으로 정의한다.
 
Operations
Selection by Number를 선택한 경우 입력내용을 반영합니다.
    : 선택한 절점을 차선절점열에 추가
    : 선택한 절점을 이미 입력된 차선절점열의 임의 위치에 삽입
    : 선택한 절점을 차선절점열에서 삭제
 
Span Start
다경간인 경우, 경간을 구분하기 위해서 각 경간에 시작되는 요소를 선택합니다. 이 기능은 DL하중에 의한 최대부모멘트 계산에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