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하중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하중조합, 미지하중계수를 가지고 있는 하중조건, 특정한 구속조건, 목적함수등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데이터들을 묶어서 하나의 미지하중계수 그룹으로 만들게 되고 해석을 수행합니다. 여러 개의 그룹으로 만들어 저장,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Unknown Load Factor 대화상자
: 미지하중계수를 구하기 위한 조건들을 입력하여 새로운 미지하중계수 그룹을 만들고자 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 이미 만들어진 미지하중계수 그룹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 이미 만들어진 미지하중계수 그룹을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를 클릭하여 새로운 미지하중계수그룹을 만들고자 할 경우, 또는 를 클릭하여 수정하고자 할 경우에 아래와 같은 Unknown Load Factor Group Detail 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합니다.

Unknown Load Factor Detail 대화상자
Item Name : 미지하중계수그룹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Load Comb : 미지하중계수의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하중조합은 Results>Combinations 에서 미리 입력된 하중조합에서 선택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미지하중계수를 구하기 위한 하중조합은 반드시 하중계수를 결정해야 하는 하중조건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현재 MIDAS/Gen에서는 하나의 하중조합에 포함될 수 있는 하중조건의 수가 최대 150개로 제한이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미지하중계수를 구하기 위한 하중조건의 개수가 150개가 넘어가는 경우에는 150개 이하의 하중조건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하중조합을 정의하고, 다시 이 하중조합들을 하나의 다른 하중조합으로 묶어 선택해야 합니다.
Object Function type : 미지하중계수로 구성된 목적함수의 구성방법을 선택합니다.
[목적함수의 구성방법]
Sign of Unknowns : 미지하중계수로 계산되어지는 값의 부호를 지정합니다.
Negative : 계산하는 값의 범위를 음(-)의 구간으로 지정합니다.
Both : 계산하는 값의 범위를 모든 구간으로 지정합니다.
Positive : 계산하는 값의 범위를 양(+)의 구간으로 지정합니다.
Unknown : 미지하중계수를 구하고자 하는 하중조건에 대해 체크버튼을 선택하여 미지하중계수로 사용합니다. 체크버튼을 사용하여 미지하중계수로 활성화하게 되면 해당하는 하중조건의Foctor항목에 "Unknown"이라는 표시가 나타나게 됩니다.
LCase : 미지하중계수로 사용되는 하중조건의 이름이 표시됩니다.
Weighted Factor : 미지하중계수에 가중치를 주어서 목적함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상대적으로 조정하기위해 입력하는 증감계수입니다.
Constraints : 미지하중계수를 포함하는 하중조합결과가 만족해야 하는 구속조건들을 입력합니다. 구속조건들을 입력하게 되면 구속조건 목록이 발생하게되고, 이들 중에서 필요로 하는 조건만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구속조건의 종류에는 변위, 반력, 트러스와 보요소의 부재력이 있습니다.
: 새로운 구속조건을 생성시키고자 할 경우에 선택합니다.
: 이미 입력된 구속조건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에 선택합니다.
: 이미 입력된 구속조건을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 선택합니다.
 또는 를 선택하였을 경우
[활용방법 및 기능 설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