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hicles
▒ 기능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 호출
[Load] 탭 > [Moving Load] > [Vehicles]
▒ 입력
Vehicle 대화상자
: 차량하중을 신규로 입력하거나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하중을 각종규준에서 지정하는 하중으로 입력할 경우에는 버튼을 클릭하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경우에는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이미 입력된 차량하중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
: 이미 입력된 차량하중을 삭제하고자 할 경우
Define User Define Vehicular Load 대화상자
Load Type
입력할 차량하중의 종류를 지정합니다.
Truck/Lane : 집중차륜하중 또는 차선하중 입력
Train Load : 열차하중 입력
Lane (Length Specifired) : 궤도하중 입력
Vehicular Name
입력되는 차량하중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Truck Load
집중차륜하중과 간격을 입력합니다.
P : 집중하중
D : 집중하중간의 간격
: 입력된 집중하중을 입력합니다.
: 입력된 집중하중을 해당위치에 삽입합니다.
: 이미 입력된 집중하중 목록에서 선택한 하중의 크기나
간격을 수정합니다.
: 이미 입력된 집중하중 목록에서 선택한 하중을
삭제합니다.
Note 집중차륜하중의 입력순서는 실제 차륜의 진행순서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Lane Load
w : 차선분포하중
PL : 모든 부재력 계산에 사용되는 차선집중하중
PLM : 모멘트 계산용 차선집중하중
PLV : 전단력 계산용 차선집중하중
Train Load
dW1~2 : 차선분포하중
dD1~2 : 차선분포하중과 집중하중의 간격 (안내그림 참조)
P : 차선집중하중 (Load에 입력)
D : 차선집중하중 사이의 간격 (Distance에 입력)
Lane (Length Specifired)
궤도하중을 입력합니다.
No. of Uniform Load : 등분포하중의 개수
Distance : 등분포하중 간 거리
Uniform Load w : 등분포하중의 크기
Uniform Load Length L : 등분포하중의 길이
Korean Standard Load(Specification for Road Way Bridges)
한국 도로교표준시방서에서 지정하는 표준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Korean Standard Train Load
한국 표준열차하중 또는 지하철 하중을 입력합니다.
Note EL-25, EL-22, EL-18은 지하철하중 DB로서 이혁진님(2001. 12. 13, (재)한국철도공사 구조설계 1팀)의 기능개선요구를 반영한 것입니다.
AASHTO Standard Load
AASHTO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AASHTO LRFD Load
AASHTO LRFD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
본 시방서에서 Dynamic Load Allowance(%) : 충격하중계수 입력란이 추가되었습니다.
Caltrans Standard Load
Caltrans 시방서에서 지정하는 차량하중을 입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