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후 
				 Wall Summary 기능을 실행하면 Records Activation Dialog가 호출되고 
				 여기에서 하중조건 및 Pushover Step 등을 선택한 후 OK버튼을 
				 클릭합니다. 
				  
				  
				  
				Type : 힌지정의 타입(M-Theta 
				 또는 M-Phi) 
				Elem : 요소번호 
				Wall ID : 벽요소의 ID번호 
				Hinge Location : 힌지속성이 
				 부여된 요소 위치 
				Pushover Hinge Prop. 
				 : 힌지속성 생성시 부여된 이름 
				Load : 하중조건 
				Step : Record Activation 
				 Dialog에서 선택한 스텝 
				Deform : 요소의 발생변위(전체변위=탄성변위+소성변위) 
				Force : 요소의 부재력 
				Plastic Deform : 요소의 
				 발생 변위(소성) 
				Initial Stiff. : 요소의 
				 초기강성 
				D/D1 : 최대 발생변위/1차 항복변위 
				Note 
				최대 발생변위(D)는 초기하중부터 
				 해당스텝까지의 발생변위중 최대 발생변위입니다. 
				따라서, 초기하중부터 해당스텝까지의 최대 변위가 해당스텝에서 
				 발생하였다면 테이블에서의 Deform값이 D값이 됩니다. 
				최대 변위가 초기하중에서 발생하였다면 테이블의 D/D1값은 
				 Deform/D1과 다르게 됩니다. 
				D/D2 : 최대 발생변위/2차 항복변위 
				Status :  힌지상태 
				P1 : 1차 항복강도 
				P2 : 2차 항복강도 
				D1 : 1차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D2 : 2차 항복변형 또는 변형도 
				  
				Note 
				 성분별 힌지는 탭으로 구분되어 
				 성분별 힌지발생시 요소의 상태(항복변위, 항복강도, 연성비 등)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PMM 타입인 경우 축력변동에 따라 모멘트 성분의 항복강도는 
				 변화하며 축력변동에 의해 매증분에서 변화하는 항복강도, 항복변형이 확인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