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816.jpg

image1305.jpg  

지반응답스펙트럼

 

개요

IMG_C_ICON_DOT.gif데이터베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지진파 기록이나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지진파 데이터로부터 지진 응답 스펙트럼을 계산해 그래프로 표시합니다. 감쇠 계수(댐핑비)를 입력합니다. 복수의 감쇠 계수에 대한 그래프를 동시에 출력하려면 [추가]버튼을 클릭하여 추가합니다. 결과단계에 그래프를 출력하는 주기의 범위와 간격을 입력합니다.

스펙트럼 종류로 스펙트럼의 타입을 선택합니다. X-축 로그스케일, Y-축 로그스케일의 항목을 체크하면 스펙트럼의 X축, Y축이 로그 스케일로 됩니다.

 

방법

 

image672.jpg

 

FFA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시간이력하중 입력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진하중에 대한 입력은 시간이력 가속도를 중력가속도로 나눈 값만 지원합니다.

  • 자주 사용되는 시간이력하중을 파일로 저장한 다음 읽어 들이는 방법

  • 데이터베이스에 내장된 시간이력하중 데이터를 호출하는 방법

  •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법

1. 자주 사용되는 시간이력하중을 파일로 저장한 다음 읽어 들이는 방법

[불러오기]

시간이력하중을 이미 만들어진 데이터에서 읽어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데이터는 확장자를 '.sgs'나 '.thd'로 하는 파일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합니다.

  

*SGSw

이 파일이 GTS의 지진데이터 자동 추출 모듈인 "Seismic Data Generator"의 데이터 형식임을 나타내는 선언문

*TITLE, Elcentro 1940, N-S Component

-

*X-AXIS, Second

-

*Y-AXIS, Normalized Acceleration

-

*UNIT&TYPE, GRAV, ACCEL

-

*FLAGS, 0, 0

-

*DATA

-

1.00000E-010, 3.50102E-001

-

5.00000E-002, 3.82861E-001

-

1.00000E-001, 5.08226E-001

-

1.50000E-001, 5.17459E-001

-

:

-

<'fn.sgs' 파일의 형식>

 

선택사항

** 주석 - 어느 곳에나 입력가능

-

*UNIT, M , N - 길이 : MM, CM, M, INCH, FEET, GRAV 가능

 

*하중 : KG, TON, KN, LBF, KIP

-

*TYPE, ACCEL - ACCEL, FORCE, MOMENT 가능

필수사항

*Data

-

X1 , Y1 (X : Time, Y : Time Function)

-

X2 , Y2

-

X3 , Y3

-

:

<'fn.thd' 파일의 형식 - 사용자가 입력>

 

2. GTS NX의 데이터베이스에 내장된 시간이력하중을 호출하는 방법

[지진파]

각종 지진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 들여 시간이력하중을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총 32종의 지진가속도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image673.jpg

 

3. 지반가속도 함수 추가/수정/보이기 대화상자의 입력란에 직접 입력하는 방법

대화상자 좌측의 입력란에 시각과 해당시각에서의 시간이력하중 값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시간이력하중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IMG_C_ICON_DOT.gif자유장해석(시작하기)

IMG_C_ICON_DOT.gif모델(지반물성)

IMG_C_ICON_DOT.gif모델(동적물성함수)

IMG_C_ICON_DOT.gif모델(지반가속도 함수)

IMG_C_ICON_DOT.gif해석

IMG_C_ICON_DOT.gif결과

IMG_C_ICON_PAGE_TOP_03.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