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을
적용할 절점을 선택하고 방향을 설정합니다. 하중 크기의 경우 시간함수(시간에 따른 하중크기)와 각
하중성분(스케일팩터)이 곱해져서 적용됩니다.
[대상형상]

절점에
작용하는 하중을 정의하지만 선택 대상은 절점 뿐 아니라, 선,면 등 기하형상 그리고, 자유면 절점
자동선택 방식이 있습니다. 선,면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형상은 요소생성에 사용된 형상이어야 하며,
형상에 포함된 모든 절점에 정의된 방향/크기에 따른 동적 절점 하중이 적용됩니다. 자유면 절점의
경우 선택된 요소 중 자유면 내의 한 절점을 선택하여 그 절점을 포함한 요소와 접하는 각도가 일정한
각도(피쳐각도) 이내에 있는 모든 절점을 자동으로 선택합니다.

[참조방향]

하중이
적용될 방향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전체직교(원통)좌표계 기준으로 입력하는 것을
기본으로, 참조방향으로 기하형상인 선/면을 선택할 수 도 있습니다. 선/면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형상의 좌표계가 표시되며, 해당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중을 설정합니다. 벡터의 경우 하중 방향을 X,Y,Z
벡터성분으로 임의설정 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하중성분]
설정된
방향에 따른 하중의 스케일팩터를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하중크기는 시간함수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값으로 미리 정의되어 있으며, 시간함수에서 최대값이 1인 비율로 설정된 경우에는 실제적용하중
크기를 입력합니다. 하중성분에서는 양수(+)는 설정된 방향으로, 음수(-)는 설정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하중을 적용합니다. 또한 기준함수를 적용할 경우 전체 좌표계 기준으로 좌표값 증가에 따른 하중크기
변화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입력되는 하중성분은 기준함수값과 곱해져서 적용됩니다.
[의존공식(시간함수)]
실제
시간에 따른 하중크기변화를 정의하는 부분입니다.
버튼을 선택하여 시간이력함수를 추가(선택) 하며, 시간함수데이터종류가 "힘"
또는 "모멘트"인 경우에만 선택가능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