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정의

 

개요

IMG_C_ICON_DOT.gif요소면이 맞닿아 있으나, 절점이 서로 공유되지 않은 부분에 접촉요소를 사용하여 같은 거동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입니다.

구조해석, 압밀해석 및 침투해석 시에 초기 인접한 물체 간의 접촉조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로 아주 복잡한 기하형상에서 절점공유를 무시하고 요소를 생성해야 할 경우, 해석오류를 방지하고, 절점공유와 유사한 해석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생성합니다.

 

방법

 

      

 

 

접촉을 정의하는 방법은 자동접촉과 접촉면 수동생성 방법이 있습니다.

 

자동접촉

선택된 요소망들이 맞닿아 있으나, 절점이 공유되지 않는 경우 해당 영역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접촉면을 생성해 줍니다.

[접촉종류] : 접촉의 종류로는 물체간의 충돌 및 충돌시의 마찰을 고려해석 해석하는 일반접촉(General Contact)과 두 물체가 접착되어 해석이 진행되는 접착접촉(Weld Contact)가 있습니다.

[검색범위] : 주 접촉면과 종속 접촉면의 거리값을 입력합니다. 이 거리값 이내의 접촉면을 검색합니다.

 

접촉면 수동생성

사용자가 직접 주접촉면과 종속 접촉면을 지정하여 접촉면을 생성합니다. 기하형상의 면, 2D 요소, 3D 요소면, 2D 자유면, 3D 자유면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접촉면 수동생성시에 점-면 접촉(node to surface contact) 또는 면-면 접촉(surface to surface contact)을 선택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 점-면 접촉은 계산 시간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으나 주물체의 절점이 종속물체를 관통하는 경향이 크므로 해의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반면에 면-면 접촉은 점-면 접촉에 비해 계산 시간이 많이 소요되나 비관통 조건을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만족하므로 구조물의 거동을 비교적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접촉종류] : 접촉의 종류로는 물체간의 충돌 및 충돌시의 마찰을 고려해석 해석하는 일반접촉(General Contact)과 두 물체가 접착되어 해석이 진행되는 접착접촉(Weld Contact)가 있습니다.

[접촉 파라미터] : 초기 접촉탐색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계수 값을 입력 합니다. 초기 접촉탐색 거리는 요소면의 가장 큰 길이에 계수 값을 곱해서 구합니다. 주 접촉면과 종속 접촉면이 초기에 탐색거리 내에 있는 경우 접촉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파라미터

추천값(KN, m)

접촉 강성(기본값 사용 추천)

수직 강성 계수

1(작은 값이 입력될수록 요소간 침투가 크게 발생)

수평 강성 계수

0.1 (수직강성계수/10)

고급옵션(파라미터)

접촉공차

자동계산(체크 해제)

마찰계수

0.3~0.6 (Depending on material types)

침투흐름의 침투성계수

불투수 (체크해제)

열전도

접촉하는 두 물체 사이의 열전도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