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시 

Home > GTS NX > 요소망 > 특성,좌표계,함수 > 재료 > 재료물성(상세) > Tresca

                    

 

                    

재료일반(거동특성)

 

Tresca

Tresca 기준은 원래 금속재료의 항복조건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지반 분야에서는 비배수 거동 시 지반 재료의 거동을 모사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모델에서는 파괴면에 작용하는 정수압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등 토질재료에 적용시키기에는 몇가지 결점이 있습니다. 첫 째로, 전단강도가 정수압(또는 구속압)에 무관하다는 가정은 일반적인 흙의 거동으로는 맞지 않으며, 둘 째로 이 기준에서는 압축과 신장에서 동일한 파괴응력을 나타내나, 실험결과에 의하면 흙은 일반적으로 인장강도를 무시하거나,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보다 월등히 큰 재료입니다.

그러나, 포화토의 비배수 조건에서 전응력해석을 할 때(이런 유형의 해석을  해석이라 함)는 Tresca 파괴기준을 사용하더라도 적절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비배수 재하 시 포화토의 전단강도는 정수압 응력성분에 무관하므로 Tresca 파괴기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최대 전단응력 한계치는 비배수 전단강도를 나타내므로, 비배수 삼축압축시험의 결과로부터 결정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