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e 
				Axial Strain 
				 탭과 Axial Strain(Detail)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두 탭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Axial Strain 
				 탭 : 재질타입(콘크리트, 철근)별 
				 가장 불리한 Cell의 결과를 출력합니다. 따라서, 
				 모든 타입에 대해 확인하고자한다면 Axial Strain(Detail)탭에서  
				  확인하여야 
				 합니다. 
				  예) 
				 같은 section position의 콘크리트 type이 2개일 때 (confined, unconfined) 
				      confined 콘크리트 압축변형률 
				 : -0.0005 
				      unconfined 콘크리트 압축변형률 
				 : -0.0008 
				      일 경우, unconfined 콘크리트 
				 압축변형률이 더 크기 때문에, unconfined 
				 콘크리트에 대한 압축변형률만 출력  
				- Axial Strain(Detail) 
				 탭 : 사용자가 지정한 모든 타입에 
				 대한압축변형률 출력 
				여러 
				 지진파에 대한 평균값은 Axial Strain(Detail)탭에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해석 
				 후 기능을 실행하면 Records Activation Dialog가 호출되고 여기에서 부재 및 층을 
				 선택한 후 [OK]버튼을 
				 클릭합니다. 
				 Pushover 
				확인하고자 하는 Pushover 
				 Load Case와 Step 및 층을 선택하고 [OK]를 
				 클릭합니다. 
				산정된 성능점이 있는 
				 경우에는 Step리스트에 성능점(PP)스텝이 추가로 나타납니다. 
				 Time-history 
				확인하고자 하는 Time 
				 History Load Cases와  층을 선택하고 [OK]를 
				 클릭합니다. 
				 Note. 시간이력하중조건은 전체 
				 시간 스텝에 대한 최대값(max), 최소값(min)에 대한 하중조건으로 출력된다. 
				  
				  
				  
				RC 
				 Column Axial Strain Table(AIK2021/Pushover) 
				  
				  
				  
				  
				RC 
				 Column Axial Strain Table(AIK2021/Time History) 
				  
				  
				Story : Column/Wall 
				 부재의 소속 층 
				Structure 
				 > Building > Story Data 에 입력된 층 이름 
				Wall 
				 이 여러층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최하위층 정보 
				Level : Column/Wall 
				 부재의 Level 
				Structure 
				 > Building > Story Data 에 입력된 층 Level 
				Section Name : Column/Wall 
				 부재의 Section Name 
				Member : Column/Wall 
				 부재의 대표 요소번호(Member Assignment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대표 요소번호로 확인) 
				Section Position : 해당 
				 단면의 적분점 위치 
				Load, Step : Pushover/Time 
				 History의 Load Case, 해당 하중조건에서의 스텝 
				Material : Inelastic 
				 Material Properties 에서 지정한 해당 단면에 정의된 비탄성재료 속성 
				Type : Acceptance 
				 Criteria for Axial Strain 에서 지정한 재료 타입 
				  Note 
				 콘크리트 : confined(횡구속) 
				 / unconfined(비횡구속) 
				         철근 
				 : seismic(내진철근) / non-seismic(비내진철근) 
				  
				Cell :  파이버 요소 
				 단면의 분팔된 요소의 번호,  Analysis 
				 Result of Fiber Section 에서 확인가능. 
				 ε : 해당하는 단면의 압축 
				 변형률.  
				  Note ε(max.comp.) : 콘크리트의 압축 변형률 
				         ε(min.tens.) : 철근의 인장 변형률 
				         콘크리트는 
				 압축변형률에 대해서만 평가, 철근은 인장변형률에 대해서만 평가함. 
				 ε(limit)  : 
				 Acceptance 
				 Criteria for Axial Strain 에서 지정한 허용축변형률 
				 Performance : 축변형률(ε)에 
				 대한 허용축변형률 ε(limit)  초과 여부에 따른 평가 
				   예 
				 ε < ε(limit)     : OK 
				       ε 
				 ≥ ε(limit)     : 
				 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