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대화상자를 통하여 입력합니다. 
				  
				  
				Concrete 
				 Design Code 대화상자 
				  
				 Design Code 
				철근콘크리트 설계기준[Default 
				 = KDS 41 31 :2018](기능활용 및 주의사항 - Note 1 참조) 
				  
				 Apply Special 
				 Provisions for Seismic Design 
				내진설계를 위한 특별규정의 
				 적용 여부를 선택합니다. 선택할 경우 '기준 제 21장'의 내진설계 특별규정을 적용하여 자동설계 
				 및 강도검증을 수행합니다. 
				  
				[KCI-USD07 
				 내진설계 특별규정을 선택한 경우] 
				
				  
				 Scale up 
				 Factor for Shear 
				내진 
				 설계 특별 규정에 의한 전단력 할증계수를 적용합니다. 
				  
				 : 규준에 따른 전단력 할증 계수를 반영합니다. 즉, 방법 1('기준 21.3.1(3)절'의 (가))에서는 
				 a1을 1로, 방법 2('기준 21.3.1(3)절'의 (나))에서는 a2를 2로 설정하며, 두 가지 
				 방법으로 산정된 전단력 중 작은 값을 사용합니다. 
				Method 
				 : 전단력 할증계수 적용방법을 선택(기능활용 및 주의사항 - Note 2, 3 참조) 
				  
				[전단력 
				 할증계수 적용방법] 
				
				  
				 Beam-Column Joint Design 
				보-기둥 
				 접합부 설계 
				  
				Note 
				[참고기준] 
				
				  
				 Member Types 
				 to be exclude in Seismic Design 
				내진설계 
				 대상에서 제외하는 부재 타입을 지정합니다.(default: check on) 
				  
				Note 
				[Sub-Beam, 
				 Cantilever 판단 기준] 
				
				  
				Note 
				각 항목에 check off를 하면 내진설계시 
				 포함되어 적용됩니다. 
				  
				 Torsion Design 
				보부재의 비틀림 자동설계 여부를 지정합니다. 
				Torsion 
				 Reduction Factor for Beam : 비틀림설계 강도감소계수 
				  
				 Moment Redistribution 
				 Factor for Beam 
				보부재에 적용되는 모멘트 재분배계수를 입력합니다. 여기에서 
				 입력하는 계수는 전체 보부재에 일괄적으로 적용됩니다. 
				(기능활용 
				 및 주의사항 Note 
				 4 참조) 
				[기능활용 및 주의사항] 
				
				  
				 Moment 
				 Calculation Method for Beam 
				RC 보의 휨강도 계산 방법을 
				 설정합니다. 
				   Equivalent Rebar : 철근 단면적 합과 도심을 고려해서 
				 계산, 중립축의 위치와 무관하게 압축측 철근 전체 고려 안 됨  
				   Each 
				 Rebar : 각 철근의 위치를 고려해서 계산, 중립축의 위치에 따라 인장/압축 철근을 
				 구분하여 고려 가능  
				  
				 Use 
				 Subdivided Force for Beam Assigned as Member 
				Member로 할당한 RC 보 
				 설계 시 부재력 고려 위치를 지정합니다. 
				옵션 체크 해제 시 부재를 4등분한 
				 5개 지점의 부재력과 Member를 구성하는 각 요소 경계 위치의 부재력을 고려하고, 옵션 체크 
				 시 부재를 4등분한 5개 지점의 부재력과 요소를 4등분한 5개 지점의 해석부재력을 고려하여 보 설계를 
				 수행합니다.  
				  
				        
				                                     <Option 
				 Check Off>   
				  
				        
				                                     <Option 
				 Check On>   
				  
				 Exposure Condition (kcr) 
				보 설계시 인장연단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철근 중심간격 s계산시 환경조건 정의KCI-2012이후 
				 코드부터 지원되며 자동설계 및 강도검토 수행시 모델 전체 콘크리트 보 부재에 적용됩니다. 
				  
				 P-M 
				 Calculation Method 
				RC 부재(기둥,브레이스,벽체) 
				 휨강도 산정시, PM Curve 상의 동일 축력 산정 또는 동일 편심 산정 중 선택하여 적용합니다. 
				  
				부재 위치에 따라 지진하중 작용시, 판단에 따라 축력 변동이 거의 없는 수직부재은 동일 축력 휨강도로 
				 산정하며, 축력 변동이 큰 수직부재인 경우 동일 편심 휨강도로 산정하도록 설정하여 검토할 수 있습니다. 
				  
				P-M 
				 Curve Calculation Method 
				  옵션에서 
				 부재별 설정을 지원합니다.  
				  
				   Keep 
				 P Constant : 동일 축력 휨강도 산정 
				   Keep 
				 M/P Constant : 동일 편심 휨강도 산정 
				                   
				                       <Keep P 
				 Constant>                                <Keep 
				 M/P Constant> 
				  
				 Use Under Ground Load Combination Type for 
				 Under Ground members 
				KDS 
				 41 30 : 2018 기준으로 검토 시, Ground Level 이하의 부재를 지하구조물 검토용 
				 하중조합(U.G.Strength/Stress, U.G.Serviceability, U.G.Special)이 
				 고려됩니다. 
				  
				 Concrete Stress-Strain Type for Bending 
				KDS 14 20 20 : 2022 4.1.1 (7), (8)에 
				 따른 콘크리트 압축응력의 분포와 콘크리트변형률 사이의 관계를 정의합니다. 
				  
				  
				[미국 
				 콘크리트학회의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 규준(ACI318-11,08)을 선택하는 경우 지진구역에 다른 
				 전단력 할증계수]  
				
				   
				[미국 
				 콘크리트학회의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 규준(ACI318-11,08,02,99,95,89)을 선택하는 
				 경우 지진구역에 다른 전단력 할증계수] 
				
				  
				[일본건축학회의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AIJ-WSD99)을 선택하는 경우 기둥 및 브레이스에 대한 설계방법 따로 
				 지정] 
				
				  
				[GB50010-02를 
				 선택한 경우]  
				
				  
				                     [인도국가표준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IS456:2000)을 선택한 경우 지진구역에 따른 인도내진설계규준(IS 
				 13920:1993)적용] 
				
				   
				                     [대만 
				 RC 보 비틀림 설계기능(TWN-USD92)] 
				
				  
				                     [Capacity 
				 Design, 강기둥-약보, 강전단-약휨 설계기능 (Eurocode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