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을
적용할 절점을 선택하고 방향을 설정합니다. 하중 크기의 경우 시간함수 (시간에 따른 하중크기)와
각 하중 성분 (스케일 팩터)이 곱해져서 적용됩니다.
[대상형상]
![](../../../KR_image/07._Dynamic_Analysis/03._Load/17._Dynamic_Nodal,_Surface_대상형상_종류.png)
절점에
작용하는 하중을 정의하지만 선택 대상은 절점 뿐 아니라, 선,면 등 기하형상 그리고, 자유면 절점
자동 선택 방식이 있습니다. 선,면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형상은 요소 생성에 사용된 형상이어야 하며,
형상에 포함된 모든 절점에 정의된 방향/크기에 따른 동적 절점 하중이 적용됩니다. 자유면 절점의
경우 선택된 요소 중 자유면 내의 한 절점을 선택하여 그 절점을 포함한 요소와 접하는 각도가 일정한
각도 (피쳐 각도) 이내에 있는 모든 절점을 자동으로 선택합니다.
![](../../../KR_image/07._Dynamic_Analysis/03._Load/18._Dynamic_Nodal,_Surface_자유면.png)
[참조방향]
![](../../../KR_image/07._Dynamic_Analysis/03._Load/19._Dynamic_Nodal,_Surface_참조방향_종류.png)
하중이
적용될 방향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전체 직교 (원통) 좌표계 기준으로 입력하는
것을 기본으로, 참조 방향으로 기하형상인 선/면을 선택할 수 도 있습니다. 선/면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형상의 좌표계가 표시되며, 해당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중을 설정합니다. 벡터의 경우 하중 방향을
X, Y, Z 벡터 성분으로 임의 설정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하중성분]
설정된
방향에 따른 하중의 스케일 팩터를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하중 크기는 시간함수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값으로 미리 정의되어 있으며, 시간함수에서 최대값이 1인 비율로 설정된 경우에는 실제
적용 하중 크기를 입력합니다. 하중 성분에서는 양수 (+)는 설정된 방향으로, 음수 (-)는 설정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중을 적용합니다. 또한 기준 함수를 적용할 경우 전체 좌표계 기준으로 좌표값
증가에 따른 하중 크기 변화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입력되는 하중 성분은 기준 함수값과 곱해져서
적용됩니다.
[의존공식
(시간함수)]
실제
시간에 따른 하중 크기 변화를 정의하는 부분입니다.
버튼을 선택하여
시간이력 함수를 추가 (선택) 하며, 시간함수 데이터 종류가 "변위", "속도",
"가속도", 힘", "모멘트"에 대해 선택 가능합니다.
|